자궁경부암의 증상, 원인, 예방접종과 가다실 9가 접종 적정 시기, 연령 등을 알아보겠습니다. 자궁경부암의 원인은 HPV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습니다. HPV 바이러스는 성관계를 통해 전염되기 때문에 남성들에게도 가다실과 같은 자궁경부암 예방접종이 권장되고 있습니다.
■ 자궁경부암 예방접종/HPV 바이러스 고위험군/가다실 9가 남자 접종
◆ 자궁경부암이란?
자궁경부암은 자궁의 입구인 자궁 경부에 발생하는 여성의 생식기 암입니다. 자궁경부암은 암의 이전 단계인 '전암 단계'가 오랜 기간 지속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에 따라 꾸준한 검사와 예방이 필요한 질병입니다.
국가암정보센터에서 발표한 <2018 주요 암 발생 현황>에 따르면 여성의 암 발생 현황 중에서 자궁경부암은 3%를 차지하며 8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자궁경부암이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연령은 40대였고 50대와 30대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최근에는 과거에 비해 20대와 30대의 자궁경부암 비율이 늘고 있다고 합니다.
◆ 자궁경부암 증상
자궁경부암은 암의 이전 단계인 '전암 단계'의 기간이 길기 때문에 별다른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궁경부암의 증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초기 - 무증상, 비정상적인 질 출혈, 붉은 질 분비물, 성교 후 출혈
중기 - 배뇨 후 출혈, 배뇨지연, 혈뇨
말기 - 악취를 동반한 분비물, 체중감소, 골반통, 요통
◆ 자궁경부암의 발생원인
자궁경부암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은 HPV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인유두종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습니다. HPV 바이러스는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으로 분류됩니다. 고위험군 HPV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자궁경부암 발생률이 일반인의 10배에 이른다고 합니다.
◆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자궁경부암은 HPV 바이러스 고위험군에 의해 발병합니다. 이에 따라 HPV 바이러스 고위험군에 대한 면역력을 형성하는 것이 자궁경부암 백신입니다. '가다실 9가'가 대표적인 자궁경부암 백신입니다. 자궁경부암 백신은 단순히 감염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아니라 암을 예방하는 백신이기 때문에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남자도 가다실 9가 예방접종을 해야 하는 이유
자궁경부암을 유발하는 HPV 바이러스는 성관계를 통해 전염됩니다. 성관계를 통해 전염되는 에이즈, C형 간염 등이 성관계를 통해 전염될 확률은 3%에 그치는 반면 HPV 바이러스는 상관계를 통해 전염될 확률이 40%에 이릅니다.
또한 HPV 바이러스에 감염된 남자들은 항문암, 음경암, 두경부암 등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약 45%의 음경암 환자들에게서 HPV 바이러스가 검출되었습니다. HPV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두경부암에 걸릴 확률은 일반인의 비해 22배에 이른다고 합니다.
따라서 남자와 여자 모두 서로를 위해 자궁경부암 예방접종을 해야 합니다.
◆ 자궁경부암 예방접종 적정 시기
자궁경부암 예방접종은 만 9세부터 만 26세, 성경험을 하기 전에 하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미 성경험이 있거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이력이 있어도 HPV 백신 4가를 접종하였을 때, 새로운 HPV 질환 발생률이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또한 만 27세부터 만 45세 사이의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한 임상실험에서 자궁경부암 백신이 생식기 사마귀, 외음부와 질의 전암 병변, 자궁경부 전암 병변 예방에 87% 이상의 효과가 있었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에 따라 미국의 식약처인 FDA에서는 자궁경부암 백신 접종 권장 연령을 만 9세에서 만 45세로 확대했습니다. 우리나라도 2020년부터 자궁경부암 백신의 권장 연령을 만 45세까지 확대했습니다.
날씨가 건조해지면서 안구건조증으로 고생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안구건조증은 눈의 불편감과 이물감을 줍니다. 하지만 그 정도가 심해지면 안구의 염증과 시력 저하를 초래할 수도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에 안구건조증에 대해 적어두었습니다.
겨울철에 감기 예방을 위해 비타민C를 드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아래의 링크에 비타민C와 감기 예방의 상관관계와 비타민C 메가도스에 대해 적어두었습니다.
'건강 관리 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피와 빈혈, 철분/커피의 항산화 작용/철분 과다/고기 먹을 때 커피 장점 (0) | 2021.12.31 |
---|---|
수족냉증 원인 / 치료방법 / 질환 (0) | 2021.12.22 |
안구건조증 증상, 치료방법, 생활습관 (0) | 2021.12.13 |
역류성 식도염 증상, 자연치료 방법, 약, 치료제 (0) | 2021.12.12 |
아르기닌의 효과 및 효능, 부작용, 일일 권장 섭취량 (0) | 2021.1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