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은 심혈관질환, 뇌졸증, 신부전증 등의 합병증을 유발합니다. 고혈압의 치료는 약물요법과 비약물요법이 병행됩니다. 비약물요법에는 운동, 식이요법 등이 있고, 약물요법은 혈압약을 처방받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고혈압약의 부작용과 고혈압 합병증을 알아보겠습니다.
■ 고혈압약 부작용 / 고혈압 합병증
◆ 고혈압 합병증
심장이 혈액을 장기로 보내기 위해서는 혈관 내의 압력(혈압)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혈압을 체크할 때에는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을 체크합니다. 수축기 혈압은 심장이 수축하면서 혈액을 박출할 때 혈압이고 이완기 혈압은 심장이 이완할 때의 혈압입니다.
가장 이상적인 혈압은 120/80mmHg 이하입니다.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을 고혈압이라고 합니다. 고혈압의 원인은 대부분(90% ~ 95%)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고혈압 증세가 있다면 심장과 혈관이 높은 압력에 의해 손상을 받게 됩니다. 이에 따라 관상동맥질환, 울혈성 심부전증, 뇌졸증, 신장기능장애 등의 합병증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고혈압으로 사망하는 경우는 관상동맥질환(약 50%), 뇌졸증(약 33%), 신부전(약 15%) 등이 주요 원인입니다.
하지만 70년 전에 혈압약이 개발되었고, 혈압약의 등장으로 인해 심혈관질환 발생률, 뇌혈관질환 발생률 등이 낮아졌습니다. 하지만 인위적으로 혈압을 낮추는 것이기 때문에 혈압약에도 부작용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 혈압약 부작용
2021년 영국의 의학 저널인 BMJ에서는 약 28만 명을 대상으로 고혈압약의 부작용에 대해 조사한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대표적인 혈압약의 부작용은 세 가지로 나타났습니다.
1. 콩팥 기능 저하
콩팥의 기능 저하는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계열의 혈압약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혈압약을 복용하면 콩팥 기능 저하의 발생 빈도가 1.18배 증가한다고 합니다.
이에 따라 대한고혈압학회에서는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를 먹으면 1개월, 3개월, 6개월 후에 콩팥 기능 검사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2. 전해질 불균형
전해질 불균형은 이뇨제 계열의 혈압약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이뇨제는 체내의 수분과 염분을 인위적으로 배출하는데, 그 과정에서 칼륨도 함께 배출되기 때문입니다.
이뇨제를 복용한다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저칼륨혈증 발생 빈도가 10배가량 증가하다고 합니다.
3. 저혈압
인위적으로 혈압을 낮추게 되면 오히려 저혈압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논문에 따르면 혈압약을 복용한다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저혈압이 발생할 확률이 2배 정도 높다고 합니다.
몇몇 의사들은 혈압약의 부작용 중에서 저혈압이 가장 무서운 부작용이라고 합니다. 저혈압이 되면 장기로 가는 혈액공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저혈압의 증상은 현기증, 두통, 무기력, 우울증 등이 있습니다. 고혈압 판정을 받고 환자가 운동 및 식이요법을 하면서 혈압이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병원에 방문할 때마다 혈압을 체크하고 필요하다면 혈압약의 종류나 양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합니다.
고혈압을 포함한 질병들은 환자마다 적절한 치료방법이 다를 것입니다. 정확한 치료를 위해 병원을 내원하시어 상담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혈압약은 의사들이 고심하여 처방한 약이기 때문에 임의로 복용을 중단하면 안 됩니다.
젊고 건강한 삶을 사는 것은 모든 사람들의 바람일 것입니다. 노화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아침식사, 소식, 운동이 중요합니다. 아래의 링크에 아침식사, 소식, 운동이 왜 노화방지에 도움이 되는지 정리해두었습니다.
커피에는 항산화 성분이 들어 있습니다. 이 항산화 성분을 이용하여 철분 흡수율을 조절할 수도 있습니다. 철분 섭취가 많은 현대인들에게는 철분을 적게 섭취할 필요가 있고, 반대로 빈혈이 있으신 분들이라면 철분이 몸에서 배출되지 않게 해야 합니다. 아래의 링크에 커피와 항산화 작용, 철분 흡수율 등을 적어두었습니다.
커피와 빈혈, 철분/커피의 항산화 작용/철분 과다/고기 먹을 때 커피 장점
'건강 관리 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 변비의 원인 / 변비의 해결방법 / 변비와 커피 (0) | 2022.01.09 |
---|---|
기립성 저혈압 원인 / 증상 / 예방법 / 운동 (0) | 2022.01.07 |
아침식사와 노화방지/소식과 회춘/노화방지와 운동 (0) | 2022.01.01 |
커피와 빈혈, 철분/커피의 항산화 작용/철분 과다/고기 먹을 때 커피 장점 (0) | 2021.12.31 |
수족냉증 원인 / 치료방법 / 질환 (0) | 2021.1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