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상포진은 수두가 걸렸던 사람이라면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질병입니다. 대상포진은 몸살, 수포, 발진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만성 신경통 후유증을 남길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대상포진의 원인, 증상, 예방방법, 치료방법 등을 정리해보겠습니다.
포스트의 내용은 일반적인 건강 정보를 전달합니다. 구체적인 건강 상담은 주치의를 통해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대상포진이란? / 대상포진 원인
대상포진이란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가 우리 몸에 잠복하고 있다가 다시 활성화되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어릴 때 수두에 걸리면 수두가 나은 이후에도 몸속에 수두 바이러스가 남게 됩니다. 수두 바이러스는 신경을 따라 이동하여 신경절 중심 부위에 잠복합니다. 수두 바이러스가 잠복하고 있는 잠복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하지만 우리 몸이 약해지고 면역력이 떨어지면 잠복해있던 수두 바이러스가 대상포진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어릴 적에 수두에 걸렸었거나, 감기로 착각하고 넘어간 경우에는 언제든지 대상포진에 걸릴 수 있습니다.
대상포진은 60대 이상에서 많이 발생하는 병입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젊은 사람들의 발병률이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대상포진 증상
대상포진의 초기 증상은 가벼운 감기 몸살과 같습니다. 이후 일정 부위에서 통증이 발생합니다. 일반적으로 배나 허리둘레 부분의 몸통에서 통증이 발생합니다.
통증이 발생하고 1~3일 정도 지난 후에는 수포(작은 물집)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수포도 몸통 부분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신경을 따라 피부 분절에 발생합니다. 따라서 몸통의 가운데를 기준으로 한쪽에만 수포가 생깁니다. 오른쪽 허리에 수포가 생겼다면 왼쪽 허리는 아무 증상이 없습니다.
수포가 발생할 때 열과 두통이 동반되기도 합니다. 간혹 수포가 발생하지 않고 발진만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수포가 발생했다면, 일반적으로 2주에서 3주 정도 지속된 후에 사라지게 됩니다.
대상포진의 진단
대상포진의 초기 증상은 가벼운 감기몸살입니다. 하지만 감기몸살로는 대상포진을 진단할 수 없습니다. 대상포진은 피부병변이 매우 특이하기 때문에(몸통 한쪽에만 수포가 발생) 피부 병변이 발생하면 대상포진을 진단받게 됩니다.
하지만 수포가 발생하지 않고 발진만 발생하는 경우에는 대상포진을 진단하기 어렵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혈액검사를 통해 확실한 진단을 실시해야 합니다.
대상포진 예방방법
대상포진을 예방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대상포진 예방접종입니다.
수두에 걸렸던 사람들은 언제나 대상포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렸을 때에 수두에 걸린 적이 있다면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권장드립니다.
면역력이 약해지는 60세 이상의 분들에게도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권장드립니다. 20대의 젊은 분들이라도 자가면역 질환 등의 면역력 질환이 있다면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받으셔야 합니다.
아이들의 경우에는 수두 백신을 맞아야 합니다. 생후 12개월 이상일 때에는 국가에서 무료로 수두 백신을 접종해줍니다. 이후에 만 4세가 되었을 때 추가적으로 접종을 한다면 90% 이상의 예방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예방접종의 목적은 인체에 바이러스를 소량 주입하여 항체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하지만 대상포진 예방접종의 목적은 수두 바이러스에 대항했던 면역세포들을 다시 한번 자극하여 강력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대상포진이 발병하기 않게 예방하는 효과도 있지만 대상포진 합병증의 정도를 경감해주는 역할도 합니다. 대상포진은 신경통과 같은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아래의 링크에 대상포진 합병증과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두었습니다.
대상포진 합병증 및 후유증 예방방법 / 신경통, 만성 통증
대상포진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약해진 면역력입니다. 아래의 링크에 일상생활에서 면역력을 높일 수 있는 습관 및 방법들을 정리해두었습니다.
저의 블로그를 방문하시는 모든 분들이 건강하고 행복하시길 바랍니다.
'건강 관리 방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로콜라 칼로리, 다이어트, 당뇨병, 부작용, 카페인 (0) | 2022.10.07 |
---|---|
골다공증에 좋은 음식, 영양제, 주사 / 예방방법, 운동, 생활습관 (0) | 2022.10.01 |
대상포진 합병증 및 후유증 예방방법 / 신경통, 만성 통증 (0) | 2022.09.25 |
일상 생활에서 면역력을 높이는 방법 , 습관 (0) | 2022.09.25 |
지방간, 간염, 알콜성 간질환 - 예방법, 건강검진 혈액검사 간수치 결과 항목 분석 (0) | 2022.09.17 |
댓글